어제 뜬금없는 노벨 평화상 수상소식을
들었다.
작가 본인도 예상 못했는지
밥먹고 쉬다가 소식을 전해들었다고했다.
아무도 예상치 못했던,
수상소식에 모두 놀라는 눈치다
물론 나같은 나부랭이가 뭐겠냐 싶지만,
나도 처음에는 이게 무슨 가정 같은 소리이냐
싶었고, 그 뉴스기사를 가짜뉴스를 잘 못 실은게
아니냐 싶은 생각이 얼핏들었을 정도였지만
이내 그것은 사실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끄럽지만 나도 사실은 맨 부커상을 받은
채식주의자 때야 비로소
한강이라는 작가를 처음 알았고
매력적인 글에 연달아 소년이 온다도 읽게 되었다.
그런 유행에 편승하는게 부끄럽다는 것은 아니지만
평소에 그리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 아니란걸 먼저 말해야 할 것 같다.
뜬금없이 느껴지긴 했지만
문학상 최고의 영예라는
노벨문학상을 한국작가가 받았다는것이
엄청 기쁘면서도 한편으로는,
한강작가로 쏟아지는 이 한줄기 빛이 자칫,
하나의 정수로만 보이게 될까 걱정이 들기도 한다.
한강작가의 글은 누가 읽어도 매력적이고
수려한 글일 것 같다.
그런데
드문드문 우리 현대문학의 아름다움을
문득 느끼게 되는 구절들이 있다.
그것이 표절이나 따라했다는 것이 아니다
작가 본인의 인터뷰에서도 밝혔듯,
한국문학의 정취가 남아있는 소설이라는 뜻이다.
결국 번역이긴 하지만,
각국의 문체마다의 저마다 느껴지는
색채가 있다하면
한강작가의 글은 무엇보다 한국소설이였다.
한강 작가의 표현력과 글전개는 상당히 매력적고
읽는 사람이 빠질 수 밖에 없지만
이것이 정수이고 모든
한국문학의 핵심으로만 여겨지지 않길..
이것을 계기로 우리문학의 재발견이
시시각각 이뤄지면 얼마나 좋을 까 생각해본다.
그리고 한 때의 유행이 아니라,
우리 문학의 힘으로 이어질 수 있길 기대해본다.
시간이 지난 뒤에 오늘 읽은
소년이 온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사람이 사람에게 갖는 의문과 희망은
비단 광주에만 있었을까…
이 소설이 상을 받았다는 뉴스기사에
달린 댓글에도 그런 의문이 남는 현대사회이다.
그 현장에서 느낀 의문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는것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사람에 대한 희망을 가져야 하는가?
찰라일지는 몰라도
소설속 진수가 말한 유리속 영혼을
보여줄 그 순간을 기다려야 하는가?
여러가지 의문과 벅참, 슬픔이 한곳에서
느껴지는 소설이다.
짧지만 긴여운을 주는 소설이라 다시 읽어도
즐거웠다.
안 읽었다면 이참에 한번 꼭 읽어보시라.
참고로… 급하지 않다면 조금 기다렸다
헌책방에서..
출처: https://blog.naver.com/taesan-mok/223615574017?fromRss=true&trackingCode=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