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알못
프로그램은 하나도 모르는 프알못이 이런 것도 한다 참 세상좋아졌다는 말이 절로나온다. 파이썬을 말만들어보고 이번이 처음 만저보는거다 사실 만지다라는 표현도 부끄럽다 그냥 GPT에게 시키고 나온 결과값을 출력 해볼 뿐이다.
물론 결과로 나온 구조에 대해서 추론은 해보지만 내가 함수나 기능에 상관관계를 아는게 아니니 외국어를 말하는 외국인 사이에서 마치 그들의 손짓 발짓을 보며 눈치로 때려맞추고 있는 느낌이다.
그런데 이게 또 대충 맞아들어가는 재미가 있다보니 오늘은 또 다른 도전을 해보았다.
네이버검색키워드 API 활용하기
일단 이걸 목표로 정한 이유는 아무래도 인터넷 마켓팅을 하다보니 자연스래 이 키워드별 검색량과 그 검색량에 대한 중요도 같은게 중요하다. 하지만 이 단순하게 검색량을 알아보는건 그냥 광고센터에 가면 볼 수 있는 데이터이고 이걸 정량화 해서 분석해둔 사이트들도 물론 있다.
그래서 이렇게 수고하지 말고 그냥 돈주고 보거나 조금 수고해서 보면 되는 정도의 데이터인데 굳이 이걸 API로 받아서 처리해보겠다고 생각한 것은 내가 데이터를 직접 만질 수 있다면 혹은 이해할 수 있다면 그것을 다양하게 이용해볼 수 있게 때문이다.
가량 월간 검색수 대비 문서발행량 비율, 문서발행수 대비 블로그 수 등등 데이터화 할 수 있는 수를 직접 만질 수 있다면 이리저리 만지고 다듬고 할 수 있을거라 생각해서 일단은 단순한 검색수부터 가지고와서 활용해보자는 생각이들었다.
GPT야 해줘!
그래서 처음에는 이전에 했던 프로그램 작성때 처럼 단순한 질문을 먼저 던졌다.
” 네이버광고API에서 키워드별 검색수 데이터 가지고오는 프로그램 짜줘 “
이랬더니 처음에는 대괄적인 방법만 가르쳐줬다.
-
API를 발급받으세요
-
파이썬을 설치하세요
-
코드를 짜세요
이런식이였다.
그래서 단계별로 문의하니. 대략적인 코드가 나온다.
역시 쉽구만 하고 코드를 적용시키니..
완전 엉뚱한 결과가 나왔다.
아 그래 쉽지 않지 란 생각으로 차근 차근 물어보며 수정하고 하는데도 계속해서 엉뚱하거나 오류만 나는 코드를 잔뜩 받아들었다.
그걸 오전내내 잡고 있었지만 결국 해결 불가능했다.
알고보니. API에서 불러올 변수이름과, 그 값의 위치를 알려줘야 하는 거였다. 이건 자체적으로 데이터가 없다보니 내가 물어보더라도 모르니까 대충 얼버무려서 값을 넣고 있는거였다.
그래서 API 센터에 있는 예제 코드를 미리 학습시키는게 필요했다. 이건 GPT4에서만 된다. 결국 유료결제..
그 이후로도 엄청나게 질문하고 다시 넣어보고 했다. 결국 문외한이다 보니 뭐가 잘못 된건지 모르는 상태에서 무지성 질문세례로 해결하려다보니 도돌이표처럼 해결되지 않았다.
이 녀석이 안되는 것도 자꾸 그럴싸하게 코드를 짜는 바람에 시간이 더 걸리는 것 같았다. 결국 포기하려고 마지막으로 초기화후 다시 시도하였는데?
왠걸.. 그냥 됐다.. 나도 모르게.. 이걸참.. 분명 똑같은 조건에 똑같은 질문으로 시작하였는데 3번의 질문만에 원하는 데이터가 전시되었다. 그 이후로는 일사천리로, 데이터를 표에 넣어줘, 데이터를 정렬가능하게 해줘. 심플하게 꾸며줘. 이런 자연어를 차례대로 넣었는데 잘 구현되었다..
그럴싸하지만 해결책은 아닌 말들;;
아직은 이 녀석을 알다가도 모르겠다. 오늘은 하루종일 이렇게 질문만 해댔는데 조금 느낀건 확실히 구체적으로 유도해야 이 녀석이 알아먹는다는 것과, 이 녀석도 모르면서 그럴싸하게 대답하는 함정이 많다는 것. 심지어 아 수정을 진행합니다 이래놓고 그냥 그대로 코드를 내어놓기도 한다… 결국 질문을 잘 해야한다는게 함정이다. 이렇게 하다보니 대략적인 구조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공부도 되긴 했다만 마냥 마법처럼 다 되는건 아닌 것 같다.
그래도 결국은 완성
물론 내가 혼자 이걸 공부한다면 분명 금방 때려치거나 안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결국 이렇게 구현해냈다는건 이 녀석이 있기에 가능했을 듯하다. 앞으로도 그 가능성을 계속해서 공부해볼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