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운(Zaun)과 필트오버(Piltover)는 원래 하나의 도시였으나, 산업화와 정치적 갈등, 계층 간 차이로 인해 둘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그들의 분리는 리그 오브 레전드 세계관의 중요한 사건으로, 경제적, 사회적 불균형을 상징합니다.
하이머딩거 :필트오버 전체를 설립한 인물은 아닙니다. 하지만 그는 필트오버의 과학적, 기술적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중요한 발명가이며, 학교나 연구 기관과 같은 학문적 기반을 설립하는 데 크게 기여한 인물입니다.
원래는 한개의 도시국가
자운과 필트오버는 본래 하나의 도시였습니다. 도시가 급격히 성장하면서 무역과 과학기술이 발전하고, 부유한 계층과 빈곤한 계층 간의 갈등이 점차 심화되었습니다. 과학적 혁신, 특히 마법과 기술을 결합한 헥스테크(Hextech) 기술의 발명은 양 도시의 발전을 이끌었지만, 이 과정에서 계층 간의 차이가 더욱 명확해졌습니다.
https://universe.leagueoflegends.com/ko_KR/region/piltover/
산업 혁명과 분리의 시작
필트오버는 자운보다 지리적으로 높은 위치에 자리하고 있었고, 산업 혁명과 함께 상류층과 지배 계급이 이 지역으로 몰리기 시작했습니다. 필트오버는 ‘진보의 도시’로 불리며, 고상하고 깨끗한 이미지로 발전했습니다. 반면, 자운은 필트오버의 하층에 위치하면서, 산업화로 인해 발생한 오염과 실험 실패의 결과들이 집중된 곳이 되었고, 기술이 제어되지 않은 곳에서 실험들이 이어졌습니다.
필트오버는 무역과 과학기술의 중심지가 되었고, 자운은 산업 폐기물과 오염으로 황폐화된 지역이 되면서 부와 권력의 격차가 커졌습니다. 이로 인해 자운은 ‘어두운 도시’로 불리게 되었고, 두 도시의 경제적, 정치적 이해관계가 갈등을 빚게 됩니다.
정치적 분리
필트오버는 상류층이 주도하는 법과 질서, 통제가 있는 도시로 발전했고, 자운은 법적인 통제보다는 기업과 범죄조직이 실질적인 권력을 쥔 지역으로 변질되었습니다. 자운의 주민들은 필트오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억압받았고, 자운 출신 과학자나 혁신가들이 윤리적으로 위험한 실험을 계속할 수밖에 없는 환경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결국, 이러한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차이는 두 도시가 완전히 분리되는 결과를 낳았고, 자운은 공식적으로 독립된 도시로 취급되었지만 필트오버에 종속적인 형태로 존재하게 되었습니다. 두 도시는 서로의 자원을 필요로 했지만, 이들의 관계는 적대적이고 상호 의존적입니다.
현대의 상황
필트오버와 자운의 차이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필트오버는 상류층과 지배 계급이 기술과 무역을 통해 부를 축적하는 도시로 남아 있고, 자운은 혁신적이지만 위험한 기술 발전을 추구하는 도시입니다. 자운의 많은 사람들이 필트오버의 억압에서 벗어나려 하고 있으며, 이들 간의 갈등은 여전히 깊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내에서 이 두 도시는 여러 챔피언들의 배경 스토리와 연결되며, 이 도시 출신 캐릭터들은 두 도시 간의 갈등 속에서 각자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싸우고 있습니다.
필트오버와 자운 간의 주요 대립
-
케이틀린 vs 징크스: 필트오버의 보안관인 케이틀린과 자운의 범죄자 징크스는 대표적인 라이벌 관계입니다. 징크스는 필트오버에 혼란을 일으키며 폭발적인 범죄를 저지르고, 케이틀린은 그녀를 잡기 위해 끊임없이 추적합니다.
-
제이스 vs 빅토르: 제이스와 빅토르는 필트오버와 자운의 기술적 갈등을 대표합니다. 제이스는 필트오버의 헥스테크 기술을 지키려 하고, 빅토르는 더 급진적인 과학 발전을 추구하는 자운의 대표적 인물입니다. 둘은 한때 친구였으나, 기술에 대한 철학적 차이로 인해 적이 되었습니다.
-
하이머딩거 vs 자운의 과학자들: 하이머딩거는 필트오버에서 윤리적이고 안전한 기술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자운의 과학자들(예: 싱드, 빅토르)은 윤리적 한계를 넘어서는 실험을 통해 기술 발전을 추구합니다. 이로 인해 하이머딩거는 자운의 과학자들과 대립하는 위치에 있습니다.
출처: https://blog.naver.com/053best/223631482792?fromRss=true&trackingCode=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