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품질을 매기는
공식적인 순위 자료는 없지만
, 어느 정도 품질을 가늠해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하자 판정 건수를 살펴보는 것인데요!
최근 5년간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하자 판정 건수 자료를 보면,
어떤 건설사들이 하자 판정
이 많이 났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아파트 품질을 간접적으로
유추해볼 수 있지 않을까요? 😊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근 5년간의
하자 판정 건수 자료를 살펴보고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최근 5년간 하자 판정 건수 상위 20개 건설사 (2019.1~2024.2)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하자 판정 건수가 많은 건설사들의 순위
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신 표에서 회사이름은 표기하지 않았어요!
풀 회사명은 출처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출처링크: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id=95089570
순위 |
건설사 명 (알파벳) |
하자 판정 건수 |
하자 판정 세부 건수 비율 (%) |
1 |
G사 |
1,646 |
50.1% |
2 |
K사 |
533 |
53.2% |
3 |
D1사 |
513 |
52.4% |
4 |
S사 |
413 |
50.3% |
5 |
D2사 |
368 |
25.7% |
6 |
D3사 |
360 |
19.1% |
7 |
D4사 |
326 |
42% |
8 |
D5사 |
251 |
56% |
9 |
D6사 |
249 |
61.6% |
10 |
R사 |
221 |
26.3% |
11 |
D7사 |
219 |
16.2% |
12 |
J사 |
204 |
9.7% |
13 |
H1사 |
196 |
33.1% |
14 |
S2사 |
193 |
56.6% |
15 |
H2사 |
187 |
23.3% |
16 |
H3사 |
182 |
27% |
17 |
H4사 |
169 |
30.4% |
18 |
S3사 |
164 |
66.1% |
19 |
E사 |
163 |
44.7% |
20 |
J2사 |
161 |
35.6% |
이 표를 보면, 하자 판정 건수가 많은
건설사 순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자 판정 건수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하자 발생 가능성이 높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는데요.
그렇다고 무조건 품질이 나쁘다는 뜻은 아닙니다.
다만, 하자 판정 결과를 통해 건설사의
품질 관리에 대해 간접적으로
추정해볼 수 있습니다.
하자 판정의 주요 유형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하자 판정의 주요 유형으로는
기능 불량, 균열, 들뜸 및 탈락,
결로, 누수 등이 많았다고 합니다.
이러한 하자는 입주민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기 때문에,
건설사들은 더욱 꼼꼼하게 품질
관리에 신경 써야 할 부분입니다.
참고 사항
위의 자료는 국토교통부에서
하자 판정 건수를 집계한 것으로
, 실제 건설사의 전체 하자 발생 현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건설사마다 아파트 단지의
규모나 시공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단순히 하자 건수만으로 아파트의
품질을 평가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이런 하자 판정 데이터를 참고하여
건설사의 품질 관리 수준을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출처: https://blog.naver.com/letsfindout/223598181118?fromRss=true&trackingCode=rss